본문 바로가기
728x90

Finance190

[기업공시] 주식병합 이해 및 예시 주식병합 개요 ▣ 주식병합이란? 존재하는 유통주식수를 일정 비율(N : 1)을 기준으로, 주식수가 적어지도록 주식간 병합하는 것으로 주식을 여러개의 주식수로 나누는 주식분할과 반대되는 개념 Reverse Stock Split, Stock Consolidation, Stock Merge, Share Rollback *유통주식수 = 발행주식수 - 자기주식수(최대주주 지분 및 자사주) ▣ 주식병합 목적 1) 거래소 제외(상장폐지) 방지 - 주가가 일정 금액 이하로 떨어지면 거래소 등록 요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워질 수 있음. 일부 거래소에서는 최소한의 주가가 유지되어야 계속 거래소에 상장이 될 수 있으며 여러 기간 동안 제한된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거래소에서 상장폐지될 위험에 처할 수 있음. Ex) NASDAQ,.. 2022. 4. 27.
[주식공부] 시장의 저점 확인하기, 반대매매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시장에서 중요한 지식 중 하나인 반대매매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반대매매 정의 및 통계 ▣ 반대매매 정의 - 반대매매는 주식이나 선물, 옵션 등 금융상품을 미수나 신용거래 후 과도한 하락이 발생하였을 때, 증권사가 고객의 동의 없이 임의로 처분하는 것 - 우리나라의 결제시스템(매수/매도 +2영업일 이후 자금 이동) 특성으로 특정 증거금률 만족 시 부족한 금액을 증권사에서 채워주는 미수거래가 발생이 되는데, 결제일까지 미수금액을 채우지 않는다면 증권사에서 고객이 보유한 주식을 당일 최저가에 매도하여 미수금 충족 - 2가지 종류 1. 현금미수금 변제 위한 반대매매(미수거래) 2. 미상환융자금 상환 위한 반대매매(신용거래) - 통상 신용매매의 담보유지비율이 140%인데.. 2022. 4. 26.
FOMC 금리 정책 동향 확인하기 CME FedWatch FOMC와 연준 기준금리 - 연준으로 불리는 연방준비이사회(Fed)는 美 중앙은행 체계이며, 통화정책을 주도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방준비이사회의 경제 정책 발표와 공보는 연중 가장 주목을 받는 행사입니다. 그 이유는 금융시장에 끼치는 영향이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입니다. 연준(Fed)은 금융 시장에서 미국 정부 국채를 매입하고 매도하며, 금리를 설정하고 지급준비금 요건을 결정합니다. 연준은 기본적으로 연준 정책 입안자들은 물가를 안정시키고 고용 극대화를 달성해야 하는 목표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연준과 연준 총재가 발표하는 공보를 트레이더들은 주시합니다. 왜냐하면, 통화정책과 연방기금금리의 아주 작은 변화라도 시장에 아주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 FOMC 구성: 연방공개시장위원회.. 2022. 4. 25.
[경제용어] 기준금리 인상 빅스텝과 베이비스텝 4월 21일(현지시간) 美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이끄는 제롬 파월 의장이 내달 초 기준금리를 한 번에 50bp 올리는 '빅스텝'을 예고했습니다. 세계 경제를 압박하는 인플레이션에 맞서기 위해 연준이 통화 긴축정책에 속도를 낼 것이란 입장도 재확인했습니다. 연준이 2000년 이후 가장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 나설 뜻을 내비치자 뉴욕증시를 비롯한 세계 증시가 일제히 급락하는 등 글로벌 투자심리는 급격하게 악화되었습니다. 오늘은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뉴스에서 자주 보이는 용어인 빅스텝과 베이비스텝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빅스텝(Big Step)이란? 기준금리 인상시 상승폭을 50bp 이상으로 결정하는 것 ▣ 베이비 스텝(Baby Step)이란? 기준금리 인상시 상승폭을 관행에 따라.. 2022. 4. 23.
[경제용어] 매파와 비둘기파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제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용어인 매파와 비둘기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통화정책관점 매파 vs 비둘기파 ▣ 통화정책관점 매파 vs 비둘기파 매파(hawkish)와 비둘기파(dovish)는 이들 새의 이미지가 상징하듯 어떤 현상에 대한 이해 및 입장표명에 있어서 서로 상반된 성향 또는 견해를 가진 정책입안자를 지칭합니다. 정치적인 의미로 사용될 때 ‘매파’는 강경파, ‘비둘기파’는 온건파를 의미하지만 최근 언론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매파’와 ‘비둘기파’는 주로 통화정책의 관점에서 사용되고 있어 조금 다른 해석이 필요합니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주로 기준금리의 변경을 통해 이루어진다. 경기가 과열되거나 과도한 유동성으로 인플레이션, 자산가격 버블 및 과다한 부채 증가 등이 우려되는 .. 2022. 4. 22.
[금융상식] 투자자 예탁금 & 예탁금 이용료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금융용어 투자자 예탁금과 예탁금 이용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투자자 예탁금 & 예탁금 이용료 ▣ 투자자 예탁금이란?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가 투자자로부터 금융투자상품의 매매, 그 밖의 거래와 관련하여 예탁받은 금전 고객예탁금에는 위탁자예수금, 장내파생상품거래예수금, 저축자예수금, 수익자예수금, 조건부예수금, 청약자예수금, 신용거래보증금 등이 있다.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는 이러한 투자자예탁금을 투자자의 재산임을 밝혀서 증권금융회사에 별도 예치 또는 신탁하여야 하고, 증권금융회사 등 예치기관은 별도 예치된 투자자예탁금을 국채,지방채증권의 매수, 정부,지방자치단체 또는 금융기관이 지급보증한 채무증권의 매수, 기타 안전한 운용이 가능하다고 인정되는 것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 2022. 4.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