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금융

주식투자 기본지표 PBR/PER/ROE 개념 및 활용

by 코딩하는 금융인 2022. 7. 5.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투자를 하면서 무조건 알아야 하는 기본 개념지표인 PBR, PER, ROE에 대해 공부하고 실전에서 어떻게 활용하는 지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주식투자 기본지표 PBR/PER/ROE

주식투자 기본 삼각형

다음의 삼각형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유튜버 중 한 명인 슈카님께서 기본지표인 PBR/PER/ROE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신 그림입니다. 제가 아래에 설명하는 개념을 쭉 보시고 위의 삼각형을 다시 한 번 보시면 이해하시는 데 분명히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주가수익률 (Price Earnings Ratio, PER)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로 나눈 값으로, 미국에서는 P/E 또는 PE로 표기함.
PER = 주가 / EPS = 주가 / 당기순이익 / 주식수 = 주식 X 주식수 / 당기순이익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 통상적으로 10배를 기준으로 잡고 10을 초과하면 고평가, 10 미만이면 저평가

- 분자인 주가는 미래가치를 반영하여 평가되고 분모인 EPS는 현재 해당 기업의 최근 실적을 반영하기에 현재 실적이 안나오고 미래가 유망한 기업이라면 PER가 높을 수 밖에 없으므로 저PER 기업이 무조건 좋은 기업은 아님 

반응형

 

▣ 주가순자산비율 (Price to Book-value Ratio, PBR)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눈 값으로, 미국에서는 P/B 또는 PB로 표기함.
PBR = 주가 / BPS = 주가 / (총자산-총부채) / 발행주식수 = 주가 X 발행주식수 / 자본총계 = 시가총액 / 자본총계

- PBR이 1 미만이면, 장부가치보다 주가가 낮다는 뜻으로 실제 순자산 대비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미

- 통상적으로 경기민감주나 우량주가 저PBR 그룹에 있음

- 부채를 반영하지 않는 지표이기에 단순히 저PBR이라고 투자하는 경우, Value Trap에 빠질 리스크 존재

 

▣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ROE)

기업이 자기자본(자본총계)을 활용하여 얼마를 벌었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X 100(%)

- 미국의 저명한 투자자 워렌 버핏은 최근 3년간 ROE가 15% 이상인 기업들에 투자할 것을 추천함

- 高 ROE란 자기자본에 비해 많은 당기순이익을 낸 것으로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의미

 

PER/PBR/ROE 관계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BPS = 자기자본 / 주식수, EPS = 당기순이익 / 주식수
PBR = 주가 / BPS, PER = 주가 / EPS
ROE = EPS / BPS = PBR /PER

∴ PBR = ROE X PER

- PBR은 ROE와 PER과 양의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좋은 기업이란 ROE가 높고 PBR이 낮은 기업이므로 보통 저PER, 저PBR, 고ROE를 가진 기업일 확률이 높습니다.

반응형

댓글

코딩하는 금융인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